리만 기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만 기하학은 19세기 베른하르트 리만이 유클리드 기하학과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기하학 이론을 개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기하학은 굽은 공간을 연구하며, 크리스토펠 기호, 호프-리노프 정리, 내시 매장 정리 등 다양한 정리와 개념을 포함한다. 주요 정리로는 가우스-보네 정리, 내시 매입 정리 등이 있으며, 단면 곡률, 리치 곡률 등을 기준으로 한 다양한 대역 기하학 정리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른하르트 리만 - 리만 사상 정리
리만 사상 정리는 복소해석학에서 단일 연결 열린 진부분집합 사이의 각도를 보존하는 정칙함수, 즉 등각 사상의 존재를 보장하는 중요한 정리이다. - 베른하르트 리만 - 리만-로흐 정리
리만-로흐 정리는 콤팩트 리만 곡면에서 인자의 차수, 유리형 함수 공간의 차원, 곡면의 종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로서, 유리형 함수를 구성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리만 기하학 - 등각 사상
등각 사상은 각도를 보존하는 사상으로, 2차원에서는 도함수가 0이 아닌 정칙 함수인 복소 함수가 해당되며, 3차원 이상에서는 상사 변환, 등거리 변환, 특수 등각 변환 등으로 분류되어 지도 제작, 항공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리만 기하학 - 편평도
편평도는 아직 내용이 없어 정의를 내릴 수 없는 위키백과 페이지이다.
리만 기하학 | |
---|---|
개요 | |
![]() | |
정의 | |
정의 | 리만 기하학은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정의된 리만 계량 g를 갖춘 다양체인 리만 다양체 (M, g)를 연구하는 기하학의 한 분야이다. 리만 계량 g는 각 점 p에서의 접공간 TpM에 정의된 양의 정부호 대칭 쌍선형 형식이다. |
역사 | |
기원 | 베른하르트 리만의 1854년 괴팅겐 대학 강연 "기하학의 기초가 되는 가설에 대하여"(Ueber die Hypothesen, welche der Geometrie zu Grunde liegen)에서 시작되었다. 리만은 공간의 곡률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를 설명했다. |
발전 | 리만 기하학은 이후 엘빈 크리스토펠,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 툴리오 레비치비타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일반 상대성 이론의 수학적 기초를 제공하며, 현대 수학 및 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주요 개념 | |
리만 계량 (Riemannian metric) | 각 점에서 정의된 양의 정부호 대칭 쌍선형 형식으로, 다양체 상의 거리와 각도를 정의한다. |
곡률 (Curvature) | 공간의 휘어짐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단면 곡률, 리치 곡률, 스칼라 곡률 등 다양한 종류의 곡률이 존재한다. |
측지선 (Geodesic) | 두 점 사이의 최단 경로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리만 다양체 상에서 "직선"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
평행 이동 (Parallel transport) | 벡터를 곡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곡률과 관련되어 있다. |
주요 결과 및 응용 | |
주요 결과 | 내시 매장 정리: 리만 다양체를 유클리드 공간에 등거리적으로 매장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가우스-보네 정리: 다양체의 곡률과 위상수학적 성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이다. |
응용 | 일반 상대성 이론: 중력을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한다. 끈 이론: 고차원 리만 다양체를 사용하여 기본 입자를 설명한다. 이미지 처리: 이미지의 기하학적 구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기계 학습: 다양체 학습을 통해 고차원 데이터의 구조를 파악한다. |
관련 주제 | |
관련 분야 | 미분기하학 텐서 해석 일반 상대성 이론 위상수학 |
관련 개념 | 비 리만 기하학 핀슬러 기하학 준 리만 기하학 복소기하학 케흘러 다양체 |
주요 학자 | |
주요 학자 | 베른하르트 리만 엘빈 브루노 크리스토펠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 툴리오 레비치비타 엘리 카르탕 시몬 도널드슨 신성웅 |
리만 기하학의 세부 주제 | |
거리 기하학 | 거리 공간 그로모프-하우스도르프 수렴 알렉산드로프 공간 |
리만 다양체의 전역 구조 | 혼 다양체 다양체의 기본군 카르탕-아다마르 정리 영구 부호 곡률 영구 양수 곡률 다양체의 영구 음수 곡률 소울 정리 |
리만 다양체의 미분 위상수학 | 특성 클래스 코보디즘 지표 정리 |
리만 다양체의 스펙트럼 기하학 | 등각 다양체 열핵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민코프스키 부등식 드럼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가? |
등거리 변환 | 등거리 사상 킬링 벡터 장 아이소메트리 군 |
최소 곡면 | 최소 곡면 평균 곡률 디니의 표면 |
특수 리만 다양체 | 칼라비-야우 다양체 진저 다양체 사원수 켈러 다양체 아인슈타인 다양체 |
리만 기하학의 테크닉 | 보흐너 기법 열 흐름 분석 리치 흐름 |
연결 이론 | 아핀 접속 에레스만 접속 주다발 |
다양한 기하학 분야와의 관계 | 심플렉틱 기하학 콘택 기하학 복소 기하학 CR 기하학 |
응용 분야 | 일반 상대성 이론의 수학 끈 이론의 수학 |
2. 역사
리만 기하학은 19세기에 베른하르트 리만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는 유클리드 기하학 및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대표적인 두 형태(구면기하학과 쌍곡기하학)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이론이다. 1853년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제자 베른하르트 리만에게 기하학의 기초에 대한 이론에 대하여 하빌리타치온 논문을 쓸 것을 제안했고, 리만은 임의의 차원에서 굽은 공간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였다.
1854년에 리만은 괴팅겐 대학교에서 〈기하학의 기초를 이루는 가정들에 대하여〉(Über die Hypothesen welche der Geometrie zu Grunde liegende)라는 제목의 강연을 개최하였으며, 이는 리만 기하학의 시초로 여겨진다. 리만의 강연은 당시에는 널리 이해되지 못하였으나, 강연 내용이 1868년에 리만의 사후에 리하르트 데데킨트에 의하여 출판되면서 미분기하학의 새로운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
1869년에 엘빈 브루노 크리스토펠은 레비치비타 접속의 성분인 크리스토펠 기호를 도입하였고,[6] 20세기 초에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와 툴리오 레비치비타가 크리스토펠이 사용한 의미의 접속을 이용하면 평행 운송의 개념을 만들 수 있음을 발견하면서 보다 큰 관심을 받게 되었다.[7]
2. 1. 리만의 초기 연구 (19세기)
19세기에 베른하르트 리만은 괴팅겐 대학교에서 〈기하학의 기초를 이루는 가정들에 대하여〉(Über die Hypothesen welche der Geometrie zu Grunde liegende)라는 제목의 강연을 개최하였다.[6] 이 강연은 리만 기하학의 시초로 여겨진다. 1853년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제자 베른하르트 리만에게 기하학의 기초에 대한 이론에 대하여 하빌리타치온 논문을 쓸 것을 제안했고, 리만은 임의의 차원에서 굽은 공간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였다.리만의 강연은 당시에는 널리 이해되지 못했으나, 1868년에 리만의 사후에 리하르트 데데킨트에 의하여 출판되면서 미분기하학의 새로운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6]
2. 2. 20세기 이후의 발전
1869년에 엘빈 브루노 크리스토펠은 레비치비타 접속의 성분인 크리스토펠 기호를 도입하였으며,[6] 20세기 초에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와 툴리오 레비치비타가 크리스토펠이 사용한 의미의 접속을 이용하면 평행 운송의 개념을 만들 수 있음을 발견하면서 보다 큰 관심을 받게 되었다.[7]하인츠 호프와 그의 제자 빌리 리노프(Willi Rinow)는 1931년에 호프-리노프 정리를 증명하였다.[8] 존 포브스 내시는 1950년대에 내시 매장 정리를 증명하였다.[9]
3. 주요 정리
다음은 리만 기하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몇 가지 정리들이다.
- 일반적인 정리
- 가우스-보네 정리: 2차원 리만 다양체에서 가우스 곡률의 적분과 오일러 지표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이다. 짝수 차원 리만 다양체로 일반화할 수 있다.
- 내시 매입 정리: 모든 리만 다양체를 유클리드 공간에 매립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 대역 기하학 (Geometry in large)
- 공간의 국소적 성질(주로 곡률)과 전역적 구조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정리들을 포함한다.
구분 | 정리 |
---|---|
단면 곡률 범위에 따른 정리 | |
단면 곡률 하한에 따른 정리 | |
단면 곡률 상한에 따른 정리 | |
리치 곡률 하한에 따른 정리 | |
리치 곡률 부호에 따른 정리 |
3. 1. 일반적인 정리
가우스-보네 정리는 콤팩트 2차원 리만 다양체에서 가우스 곡률의 적분이 2πχ(''M'')와 같다는 정리이다. 여기서 χ(''M'')는 ''M''의 오일러 지표를 나타낸다. 이 정리는 모든 콤팩트 짝수 차원 리만 다양체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일반화된 가우스-보네 정리를 참조하라.[2][3]내시 매립 정리는 모든 리만 다양체가 유클리드 공간 '''R'''''n''에 등거리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는 정리이다.[2][3]
3. 2. 대역 기하학 (Geometry in large)
리만 기하학에서 대역 기하학은 공간의 국소적 성질(주로 곡률)과 전역적 구조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정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리들은 공간의 국소적 거동(보통 곡률을 이용해 공식화됨)을 바탕으로 다양체의 위상수학적 유형이나 "충분히 큰" 거리에서 점들의 거동 등, 공간의 전역적 구조에 대한 정보를 이끌어낸다.3. 2. 1. 단면 곡률의 범위에 따른 정리
- '''구면 정리.''' 만약 ''M''이 단일 연결된 콤팩트 ''n''차원 리만 다양체이고 단면 곡률이 1/4과 1 사이에서 엄격하게 조여져 있다면, ''M''은 구와 미분 동형이다.
- '''치거의 유한성 정리.''' 상수 ''C'', ''D'' 및 ''V''가 주어지면, 단면 곡률 |''K''| ≤ ''C'', 지름 ≤ ''D'' 및 부피 ≥ ''V''를 갖는 콤팩트 ''n''차원 리만 다양체는 미분 동형까지 유한 개만 존재한다.
- '''그로모프의 거의 평탄한 다양체.''' ε''n'' > 0이 존재하여, ''n''차원 리만 다양체가 단면 곡률 |''K''| ≤ ε''n'' 및 지름 ≤ 1을 갖는 리만 계량을 가지면, 유한 피복 공간은 닐 다양체와 미분 동형이다.
3. 2. 2. 단면 곡률 하한에 따른 정리
- '''치거-그로몰의 소울 정리''': ''M''이 비콤팩트 완전 비음(非陰)의 곡률을 가진 ''n''차원 리만 다양체라면, ''M''은 콤팩트하고, 완전 측지적인 부분 다양체 ''S''를 포함하며, ''M''은 ''S''의 법선 다발과 미분 동형이다(''S''는 ''M''의 '''소울'''이라고 불린다). 특히, 만약 ''M''이 모든 곳에서 엄격하게 양의 곡률을 가진다면, 이는 '''R'''''n''과 미분 동형이다. 그리고리 페렐만은 1994년에 소울 추측에 대한 놀랍도록 우아하고 짧은 증명을 제시했다. ''M''은 단 한 점에서 양의 곡률을 가지면 '''R'''''n''과 미분 동형이다.
- '''그로모프의 베티 수 정리''': 상수 ''C'' = ''C''(''n'')가 존재하여, 만약 ''M''이 양의 단면 곡률을 가진 콤팩트 연결 ''n''차원 리만 다양체라면 그 베티 수의 합은 최대 ''C''이다.
- '''그로브-피터슨의 유한성 정리''': 상수 ''C'', ''D''와 ''V''가 주어지면, 단면 곡률 ''K'' ≥ ''C'', 지름 ≤ ''D'' 및 부피 ≥ ''V''를 갖는 콤팩트 ''n''차원 리만 다양체의 호모토피 유형은 유한하게 존재한다.
3. 2. 3. 단면 곡률 상한에 따른 정리
- '''카르탕-아다마르 정리''': 비양의 단면 곡률을 갖는 완비 단일 연결 리만 다양체 ''M''은 임의의 점에서 지수 사상을 통해 ''n'' = dim ''M''인 유클리드 공간 '''R'''''n''와 미분 동형이다. 이것은 비양의 단면 곡률을 갖는 단일 연결 완비 리만 다양체의 임의의 두 점이 유일한 측지선에 의해 연결된다는 것을 함축한다.
- 음의 단면 곡률을 갖는 임의의 콤팩트 리만 다양체의 측지 흐름은 에르고딕이다.
- 만약 ''M''이 단면 곡률이 엄격한 음의 상수 ''k''로 위로 제한된 완비 리만 다양체라면, 그것은 CAT(''k'') 공간이다. 결과적으로, 그 기본군 Γ = π1(''M'')은 그로모프 쌍곡이다. 이것은 기본군의 구조에 대해 많은 함의를 가진다:
- 그것은 유한 표시이다.
- Γ에 대한 단어 문제는 긍정적인 해를 갖는다.
- 군 Γ는 유한 가상 코호몰로지 차원을 갖는다.
- 그것은 유한 위수 원소의 유한한 켤레류만을 포함한다.
- Γ의 아벨 부분군은 가상 순환이므로, '''Z'''×'''Z'''에 동형인 부분군을 포함하지 않는다.
3. 2. 4. 리치 곡률 하한에 따른 정리
- '''마이어스 정리''': 완비 리만 다양체가 양의 리치 곡률을 가지면, 그 기본군은 유한하다.[1]
- '''보흐너 공식''': 콤팩트한 리만 ''n''-다양체가 음이 아닌 리치 곡률을 가지면, 그 첫 번째 베티 수는 ''n'' 이하이며, 리만 다양체가 평탄한 원환면인 경우에만 등식이 성립한다.[1]
- '''분할 정리''': 완비 ''n''-차원 리만 다양체가 음이 아닌 리치 곡률을 가지고, 직선 (즉, 각 구간에서 거리를 최소화하는 측지선)을 가지면, 이는 실선과 음이 아닌 리치 곡률을 가진 완비 (''n''-1)-차원 리만 다양체의 직접 곱과 등거리 사상이다.[1]
- '''비숍-그로모프 부등식''': 양의 리치 곡률을 가진 완비 ''n''-차원 리만 다양체의 반지름 ''r''의 메트릭 공의 부피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동일한 반지름 ''r''의 공의 부피보다 작거나 같다.[1]
- '''그로모프의 콤팩트성 정리''': 양의 리치 곡률과 지름이 ''D'' 이하인 모든 리만 다양체의 집합은 그로모프-하우스도르프 거리에서 전콤팩트이다.[1]
3. 2. 5. 리치 곡률 부호에 따른 정리
# 음의 리치 곡률을 갖는 콤팩트 리만 다양체의 등거리 변환군(또는 등장군)은 이산군이다.[4]# ''n'' ≥ 3인 모든 차원의 매끄러운 다양체는 음의 리치 곡률을 갖는 리만 계량을 허용한다.[4] (''이것은 곡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n''차원 토러스는 양의 스칼라 곡률을 갖는 계량 텐서를 허용하지 않는다.
4. 관련 자료
참조
[1]
URL
http://www.maths.tcd[...]
[2]
서적
Gauge Fields in Condensed Matter Vol II
http://users.physik.[...]
World Scientific
[3]
서적
Multivalued Fields in Condensed Matter, Electromagnetism, and Gravitation
http://users.physik.[...]
World Scientific
[4]
문서
Joachim Lohkamp has shown (Annals of Mathematics, 1994) that any manifold of dimension greater than two admits a metric of negative Ricci curvature.
[5]
문서
ヨアヒム・ローカンプ(Joachim Lohkamp)は Annals of Mathematics, 1994 で、2よりも大きな次元を持つすべての多様体は、負のリッチ曲率を持つことを示した。
[6]
저널
Ueber die Transformation der homogenen Differentialausdrücke zweiten Grades
http://resolver.sub.[...]
[7]
저널
Méthodes de calcul différential absolu et leurs applications
1900
[8]
저널
Ueber den Begriff der vollständigen differentialgeometrischen Fläche
[9]
저널
The imbedding problem for Riemannian manifol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